남에게 들었을 때 가장 상처되는 말
작성일
2025-10-17 10:04
국내 성인들이 남에게 들었을 때 가장 상처되는 말은 “당신보다 더 힘든 사람도 많아요”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임상우울증학회는 지난 9월 16~22일 1주간 인스타그램을 통해 성인 1195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환자에게 위로 또는 상처가 되는 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조사에는 남성 270명과 여성 925명이 참여했고, 연령대는 30~39세가 4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40~49세(26.8%), 20~29세(18.5%) 순이었다.
조사 결과, 2문항 우울증 설문지(PHQ-2)에서 우울증이 의심되는(3점 이상) 사람은 488명으로 40.8%를 차지했다. 본 설문을 통해서 위로하려고 주고받는 말 가운데 일부 표현은 상대방에게 상처가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사에 따르면, “당신보다 더 힘든 사람도 많아요”라는 말이 상처가 된다는 응답이 7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너무 예민한 것 같으니, 편안하게 생각하세요.”(68.6%), “괜찮아질 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시간이 해결해 줄 거예요”(51.2%) 순이었다.
반면, 80% 이상이 위로가 된다고 답한 말들은 “이야기하고 싶을 때 말해요. 언제든 들어드릴 준비가 되어 있어요.” “당신의 잘못이 아니니 죄책감 갖지 마세요.” “천천히 한 걸음씩 나아가도 괜찮아요.” “치료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이 길을 함께 걸어갈게요.” “당신은 정말 멋지고 소중한 사람이에요.” 등이었다.
같은 말이라도 성별에 따라 받아들이는 정도가 달랐다. 여성은 “우리는 이 어려움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어요.” “당신의 기분이 돌아올 수 있도록 우리가 함께 할 거예요.”와 같은 공감적 표현에서 평균 점수가 남성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더 큰 위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의 경우 동일한 표현을 비교적 중립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 “변화의 한 걸음씩 나아가는 건 괜찮아요.”와 같은 격려성 표현도 여성 집단에서 더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조사에 참여한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허연 교수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들은 주변의 위로와 격려의 말에 대해 일반인과는 다른 반응을 보인다.
실제 우울증이 의심되는 사람(488명)과 그렇지 않은 사람(707명)을 대상으로 반응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우울증 의심되는 사람에서 상처가 된다고 답한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당신보다 더 힘든 사람도 많아요”(86.9% vs 68.8%), “너무 예민한 것 같으니, 편안하게 생각하세요.”(79.8% vs 37.1%), “힘내세요, 긍정적으로 생각하세요”(환자군 68.9% vs 비환자군 37.1%),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하면 나아질 거예요”(67.1% vs 33.2%)와 같은 표현은 우울증 환자들에게 위로보다는 부담과 상처로 다가오는 경우가 많았다.
허연 교수는 “우울증 환자에게는 조언이나 비교보다는 조건 없는 지지와 공감, 감정 수용이 더 큰 힘이 된다”라며 “선의로 건넨 말이 때로는 상처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결과는 우울증 환자와 가족, 그리고 사회 전체가 보다 따뜻하고 섬세한 소통 방식을 고민해야 함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이 조사 결과는 오는 19일 서울아산병원에서 개최되는 ‘2025년 임상우울증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구체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심포지움에서는 우울증의 병태생리와 진단의 최신지견, 우울증의 유전학과 생체표지자 연구의 현재,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우울증, 노인 우울증의 이해와 치료 전략, 현장에서 바로 쓰는 우울증 약물치료 가이드, 다른 정신질환과 동반된 우울증의 임상적 이해와 치료 전략, 1차 의료에서 효과적인 우울증 상담전략의 내용으로 학술대회도 함께 진행된다.
설문조사를 주도한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식 명예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언어적 위로의 수용 방식이 성별이나 우울증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소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심리적 어려움에 처한 사람에게는 단순한 위로보다 상대방이 공감받는다고 느낄 수 있는 표현이 중요하다”며 “특히 여성 집단이 공감적 언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확인됐다”고 했다.
한편, 김영식 회장은 “이번 조사에서, 우울증 등 정신건강 관련 진단으로 실손보험 가입이나 보험청구에서 불이익을 경험한 경우가 9.8%로 나타났으며, 표준약관 개정을 통해 정신질환을 급여 범위 내에서 보장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실손의료보험 가입자에서도 불이익 경험자가 11.9%로 비가입자 6.7%보다 높게 나타났다”며 “이는 우리사회에서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이 아직도 여전함이 확인된 것으로, 학회는 우울증 환자 뿐만아니라 모든 국민이 정신질환으로 인한 불이익이나 차별을 받지 않도록 대정부 정책수립이나 대국민 홍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상우울증학회는 지난 9월 16~22일 1주간 인스타그램을 통해 성인 1195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환자에게 위로 또는 상처가 되는 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조사에는 남성 270명과 여성 925명이 참여했고, 연령대는 30~39세가 4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40~49세(26.8%), 20~29세(18.5%) 순이었다.
조사 결과, 2문항 우울증 설문지(PHQ-2)에서 우울증이 의심되는(3점 이상) 사람은 488명으로 40.8%를 차지했다. 본 설문을 통해서 위로하려고 주고받는 말 가운데 일부 표현은 상대방에게 상처가 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사에 따르면, “당신보다 더 힘든 사람도 많아요”라는 말이 상처가 된다는 응답이 7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너무 예민한 것 같으니, 편안하게 생각하세요.”(68.6%), “괜찮아질 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시간이 해결해 줄 거예요”(51.2%) 순이었다.
반면, 80% 이상이 위로가 된다고 답한 말들은 “이야기하고 싶을 때 말해요. 언제든 들어드릴 준비가 되어 있어요.” “당신의 잘못이 아니니 죄책감 갖지 마세요.” “천천히 한 걸음씩 나아가도 괜찮아요.” “치료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이 길을 함께 걸어갈게요.” “당신은 정말 멋지고 소중한 사람이에요.” 등이었다.
같은 말이라도 성별에 따라 받아들이는 정도가 달랐다. 여성은 “우리는 이 어려움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어요.” “당신의 기분이 돌아올 수 있도록 우리가 함께 할 거예요.”와 같은 공감적 표현에서 평균 점수가 남성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더 큰 위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의 경우 동일한 표현을 비교적 중립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 “변화의 한 걸음씩 나아가는 건 괜찮아요.”와 같은 격려성 표현도 여성 집단에서 더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조사에 참여한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허연 교수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들은 주변의 위로와 격려의 말에 대해 일반인과는 다른 반응을 보인다.
실제 우울증이 의심되는 사람(488명)과 그렇지 않은 사람(707명)을 대상으로 반응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우울증 의심되는 사람에서 상처가 된다고 답한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당신보다 더 힘든 사람도 많아요”(86.9% vs 68.8%), “너무 예민한 것 같으니, 편안하게 생각하세요.”(79.8% vs 37.1%), “힘내세요, 긍정적으로 생각하세요”(환자군 68.9% vs 비환자군 37.1%),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하면 나아질 거예요”(67.1% vs 33.2%)와 같은 표현은 우울증 환자들에게 위로보다는 부담과 상처로 다가오는 경우가 많았다.
허연 교수는 “우울증 환자에게는 조언이나 비교보다는 조건 없는 지지와 공감, 감정 수용이 더 큰 힘이 된다”라며 “선의로 건넨 말이 때로는 상처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결과는 우울증 환자와 가족, 그리고 사회 전체가 보다 따뜻하고 섬세한 소통 방식을 고민해야 함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이 조사 결과는 오는 19일 서울아산병원에서 개최되는 ‘2025년 임상우울증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구체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심포지움에서는 우울증의 병태생리와 진단의 최신지견, 우울증의 유전학과 생체표지자 연구의 현재,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우울증, 노인 우울증의 이해와 치료 전략, 현장에서 바로 쓰는 우울증 약물치료 가이드, 다른 정신질환과 동반된 우울증의 임상적 이해와 치료 전략, 1차 의료에서 효과적인 우울증 상담전략의 내용으로 학술대회도 함께 진행된다.
설문조사를 주도한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식 명예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언어적 위로의 수용 방식이 성별이나 우울증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소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심리적 어려움에 처한 사람에게는 단순한 위로보다 상대방이 공감받는다고 느낄 수 있는 표현이 중요하다”며 “특히 여성 집단이 공감적 언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확인됐다”고 했다.
한편, 김영식 회장은 “이번 조사에서, 우울증 등 정신건강 관련 진단으로 실손보험 가입이나 보험청구에서 불이익을 경험한 경우가 9.8%로 나타났으며, 표준약관 개정을 통해 정신질환을 급여 범위 내에서 보장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실손의료보험 가입자에서도 불이익 경험자가 11.9%로 비가입자 6.7%보다 높게 나타났다”며 “이는 우리사회에서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이 아직도 여전함이 확인된 것으로, 학회는 우울증 환자 뿐만아니라 모든 국민이 정신질환으로 인한 불이익이나 차별을 받지 않도록 대정부 정책수립이나 대국민 홍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 0
전체 565
번호 | 제목 | 작성일 |
565 |
소지섭 엄태구 작전명 쓱데이 ㅋㅋㅋ
2025.10.21
|
2025.10.21 |
564 |
남에게 들었을 때 가장 상처되는 말
2025.10.17
|
2025.10.17 |
563 |
`전신 성형`에 3억 쓴 여성, 수술만 400회 ❤
2025.10.17
|
2025.10.17 |
562 |
수영복 심사를 대체한 전년도 미스코리아들의 한복쇼 ❤
2025.10.17
|
2025.10.17 |
561 |
30년 이상 어려보이게 만들어주는 동안 화장.jpg ❤
2025.10.09
|
2025.10.09 |
560 |
의자선택으로 보는 심리테스트 ❤
2025.10.08
|
2025.10.08 |
559 |
과학으로 입증된 나쁜 음식.jpg ❤
2025.10.08
|
2025.10.08 |
558 |
133년만에 이름을 바꾼다는 세계적인 커피 브랜드.jpg ❤
2025.10.07
|
2025.10.07 |
557 |
미국 알파세대 요즘 신조어 ❤
2025.10.05
|
2025.10.05 |
556 |
30년간 하루 1끼 먹은 사람 근황 ❤
2025.10.02
|
2025.10.02 |
555 |
미국 배우들을 빵 터뜨린 이병헌의 센스 ❤
2025.10.01
|
2025.10.01 |
554 |
뇌출혈 온 장모님에게 장난치는 사위 ❤
2025.10.01
|
2025.10.01 |
553 |
유인나를 절대 이길수 없는 이수지 ❤
2025.10.01
|
2025.10.01 |
552 |
왕년에 여자 여럿 울렸다는 50대 아저씨 ❤
2025.09.29
|
2025.09.29 |
551 |
엄정화 반려견과 행복한 일상…케익 들고 활짝 ❤
2025.09.29
|
2025.09.29 |
550 |
만삭 이시영 아들과 손잡고 여행…배 타고 주꾸미 낚시 ❤
2025.09.29
|
2025.09.29 |
549 |
강민경, 10년째 1일 1식하더니..완벽한 콜라병 몸매 완성 ❤
2025.09.29
|
2025.09.29 |
548 |
안은진, '근엄한 모습' ❤
2025.09.29
|
2025.09.29 |
547 |
어느 40세 노처녀의 결혼 원정기 ❤
2025.09.29
|
2025.09.29 |
546 |
소피 마르소 근황 ❤
2025.09.29
|
2025.09.29 |